아파트 분양제도는 크게 선분양과 후분양으로 나눌 수 있어요.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후분양제 도입 여부가 뜨거운 감자입니다. 정부에서도 공공부문에서부터 단계적으로 후분양제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어요. 과연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후분양제란 무엇인가요?
후분양제는 말 그대로 건물을 다 지은 다음에 입주자를 모집하는 방식이에요. 건설사가 공사비를 모두 조달해야하므로 자금 부담이 크고 그만큼 고품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반면에 부실시공 등 하자 발생시 책임소재를 가리기 어렵고, 청약 당첨자가 실제 거주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요.
공공주택에만 후분양제를 적용한다고 하는데 맞나요?
네 맞아요. 국토교통부는 지난 5월 ‘2019년 주거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올해 하반기부터 LH공사나 SH공사 등 공공기관이 짓는 아파트 단지 가운데 공정률 60% 이상인 곳부터 후분양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어요. 민간건설사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 제공 방안도 마련중이랍니다.
민간기업 입장에서는 굳이 왜 후분양제를 할까요?
정부 정책 방향대로라면 2020년부터는 모든 공동주택 사업장(300세대 이상)이 후분양 대상이 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대형 건설사들을 제외하고는 선뜻 나서려는 기업이 없어요. 지금처럼 선분양하면 중도금 대출 이자비용만큼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이죠. 특히 중소업체일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후분양 전환이 쉽지 않을 전망이에요.
우리나라 최초의 아파트는 1932년 지어진 마포아파트라고 해요. 당시엔 주로 일본인에게 임대했고, 한국전쟁 이후로는 미군 장교 숙소로 쓰였어요. 현재 우리나라 대표 부촌 중 한 곳인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 역시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판잣집이 즐비하던 달동네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오랜 역사를 가진 대한민국이지만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어요. 이제는 누구나 내집마련이라는 꿈을 가지고 열심히 살아가고 있죠. 여러분에게도 좋은 소식이 들려오길 바랍니다.